신앙레시피 , 알림목록

[주보로 배우는 교리] ‘죽음의 행진’을 아십니까?

 

1979년 12월 25일 서울주보 2면에는 가르멜회 수녀님 두 분의 사진과 함께 ‘서울 성모영보 깔멜회 창립자 수녀 선종’ 소식을 전하고 있습니다.
“서울 성모영보 깔멜회의 창립자자비의 마리 막달레나(마들렌) 수녀님(프랑스인)께서 12월 5일 오후 8시 40분에 선종하셨다. 수녀님은 수도 생활 54년 중 프랑스에서 14년, 나머지 40년은 한국에서….(중략)”6.25 전쟁 때 3년간 북한으로 피랍돼 ‘죽음의 행진’에 끌려가셨다가 모스크바와 프랑스를 경유해서 1954년 1월 29일 다시 한국으로 돌아오신 후 여생을 마쳤다고 쓰여있습니다.
서울 성모영보 가르멜회의 설립자인 프랑스 수녀님 5명은 1950년 6월 27일 서울이 함락되기 전, 메리놀 수도회의바이런 주교로부터 비행기를 타고 도쿄로 탈출하라고 연락받았습니다. 그런데 유럽인 수녀들만 탈 수 있다는 전갈에 한국 수녀들과 생사를 같이하기 위해 탈출을 포기하고남을 것을 선택하였습니다. 6.25 전쟁 때 북한군은 서울을 사흘 만에 함락한 후 정부 인사, 경찰, 군인 가족, 지주들을 인민재판이란 이름으로 마음대로 처형하였습니다. 북한군은 서울 침공 초기부터 교회 인사들을 회유하여 선전 선동에 동원하려 했지만 여의치 않았습니다. 명동대성당의 미사도 8월 6일까지는 주일미사가 겉으로는 정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하지만 7월 초순부터 북한군은 이미 주교관,수녀원, 고아원 등 교회 시설들을 강점했고 한국과 외국인 신부님들과 수녀님들을 체포해 가두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1950년11월, 전세가 역전되자 서울 등 남한 지역에서 체포했던 성직자와 수도자, 개신교 선교사, 미국 고문단을 비롯하여 상당수의 서양인들을 평양과 중강진을 거쳐 하창리 포로수용소로 이동시켰습니다. 또한 한국전쟁 이전부터 체포되었던, 덕원과 함흥지역의 성직자, 수도자들은10월부터 북쪽으로 이동시키며 만포를 거쳐 옥사독 수용소에 억류시켰습니다. 이 고난스러운 이동 과정을 ‘죽음의 행진’이라 부릅니다. 죽음의 행진과 혹독한 수용소 생활 중 많은 이들이 죽음을 맞았습니다. 상당수가 고령이라 몸을 제대로 가누기도 어려웠는데도 불구하고 이들에게 먹을 것, 마실 것도 잘 주지 않은 채 영하 40도의 엄동설한에 ‘죽음의 행진’을강행시켜 상당수의 포로들이 동사 혹은 아사하거나 인민군들에게 살해되었습니다.
가르멜 외국인 수녀님도 죽음의 행진에서 두 분은 돌아가시고 세분은 3년의 포로생활 후 본국인 프랑스로 강제송환되었습니다. 송환된 지 6개월 후에 다시 한국으로 돌아온 두 수녀님 중 마리 마들렌 수녀님께서 북한 포로 생활을 생생한 증언으로 남기신 책이 『귀양의 애가』입니다. 포로가 되어 북한군에게 죽은 국내외 가톨릭 사제, 수사, 수녀, 신학생들의 숫자가 150명을 넘습니다. 한국 천주교회는 한국전쟁 당시 순교한 “‘하느님의 종’ 홍용호 프란치스코 보르지아 주교와 동료 80위”에 대한 시복시성을 진행하고 있습니다.